이 항목은 수식이 존재합니다.
PC버전으로 보면 수식을 볼 수 있습니다.
면책 조항 : 틀린 내용일 수 있습니다.
은거울
목차
1 동명의 반응
2 동명의 학생
2.1 근황
1 은거울반응
산화/환원의 원리를 응용한 반응으로 aldehyde와 같은 포르밀기($ -CHO $)를 갖는 화합물의 환원성을 이용한다. Tollens라는 독일의 화학자가 발견한 것으로 Tollens Test, Silver Mirror Test라고도 한다. 그래서 이 실험에는 주로 Tollens 시약($ Ag(NH_3)_2 $)이 사용된다. 착이온인 $ Ag^+ $이(정확하겐 시약의 화학식에서 1가 이온) 알데히드의 포르밀기와 반응한다. alcohol이 aldehyde로, 또 carboxylic acid로 바뀌는 끝이 없는 유기화학, 즐거운 유기화학. 참고로 저 알코올은 1차 알코올이어야한다. 그것은 다시 말하면 탄소 개수가 2개 이하라면 간단히 hydration을 통해 만들 수 있지만 3개 이상이면 2번째 탄소에 OH가 치환되므로 halohydrin을 만든 후 떼어버리던가 뭐 하여튼 조금 더 복잡해진다. 1
놀랍게도 한자 사용권 국가에서만 이 반응을 은거울반응이라고 하고 다른 나라에선 Tollens test라고 한다. 이와 같이 aldehyde를 검출하는 용액엔 Fehling's solution 혹은 중딩때부터 배우던 Benedict's reagent가 그 오이 베네틱트가 아니다. 있다. 일본 화학 교육 과정에서는 아래 내용을 알아야 한다.
화학식은 아래와 같다.
2 동명의 학생
그렇다고 해서 이름이 '은거울'은 아니다! 아냐, 어떻게 보면 맞다고.
이 학교의 여학생으로 영도에서 해운대구로 이사를 왔다고 한다.
남자를 밝힌다고 알려져 있으며 가끔 흉흉한 소문이 돌곤한다. 원래 정보과학을 전공하다가 본인의 오랜 꿈을 위해 생명과학으로 바꾼지 몇 달 되지 않아 다시 정보과학으로 돌아온 미로 속에 살고 있는 여학생이다. 시체과학인가? 어쨌든 그런 이름의 비하하는 게 아니고 몰라서 그렇다. ㅠㅠ 무슨 책은 상당히 좋아하는데 생물은 도저히 재미없어서 못하겠다고... 생물 재미없다 공감 꾹
2.1 근황
유니스트로 간 듯하다. 이외 아는 사실 있으면 언제나 제보바람.
- 요기가 더 안정함. [본문으로]